12 minute read

모든 참조자는 라이프타임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참조자의 라이프타임이 암묵적을 추론된다.

러스트가 추론에 실패한 경우, 제네릭 라이프타임 파라미터를 명시해서 런타임에 참조자의 유효성을 확실히 한다.

댕글링 참조자를 방지하는 라이프타임

라이프타임은 의도하지 않은 데이터를 참조하는 일을 예방한다.

아래 프로그램은 외부와 내부 스코프를 가지고 있다.

내부 스코프에서 x의 참조자를 외부에서 선언된 r에 대입한다.

내부 스코프 종료 후 r의 값을 출력한다.

{
    let r;

    {
        let x = 5;
        r = &x;
    }

    println!("r: {}", r);
}

컴파일 시 `x` does not live long enough이라는 에러가 발생한다.

x가 스코프 밖으로 벗어났을 때, r이 할당 해제된 메모리를 참조해서 생긴 에러다.

러스트는 빌림 검사기를 이용해서 위와 같이 잘못된 코드의 컴파일을 막는다.

빌림 검사기(Borrow checker)

주석으로 변수의 라이프타임을 표시했다.

{
    let r;         // -------+-- 'a
                   //        |
    {              //        |
        let x = 5; // -+-----+-- 'b
        r = &x;    //  |     |
    }              // -+     |
                   //        |
    println!("r: {}", r); // |
                   //        |
                   // -------+
}

r의 라이프타임은 'a로, x의 라이프타임은 'b로 표현됐다.

'a 라이프타임을 가진 r'b 라이프타임을 가진 오브젝트를 참조하고 있다.

'b 라이프타임이 'a 라이프타임보다 작아서 컴파일러가 이 프로그램을 거부한다.

참조자가 오래 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래 프로그램은 댕글링 참조자가 없어서 정상적으로 컴파일된다.

{
    let x = 5;            // -----+-- 'b
                          //      |
    let r = &x;           // --+--+-- 'a
                          //   |  |
    println!("r: {}", r); //   |  |
                          // --+  |
}                         // -----+

x의 라이프타임인 'b'a보다 커서 rx를 참조할 수 있다.

함수 내의 제네릭 라이프타임

두 스트링 슬라이스 중 긴 쪽을 출력하는 longest 함수를 구현해서 The longest string is abcd를 출력해야 한다.

fn main() {
    let string1 = String::from("abcd");
    let string2 = "xyz";

    let result = longest(string1.as_str(), string2);
    println!("The longest string is {}", result);
}

아래와 같이 longest 함수를 구현하면 컴파일에 실패한다.

fn longest(x: &str, y: &str) -> &str {
    if x.len() > y.len() {
        x
    } else {
        y
    }
}

missing lifetime specifier라는 에러 메시지가 나온다.

반환 타입에 제네릭 라이프타임 파라미터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러스트가 반환되는 참조자가 x를 참조하는지, y를 참조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라이프타임 명시 문법

제네릭 타입이 아무 타입이나 받듯이

제니릭 라이프타임 파라미터도 아무 라이프타임을 받을 수 있다.

여러 개의 참조자가 난립하는 상황에서 라이프타임들을 서로 연관 짓기 위해 라이프타임을 명시한다.

라이프타임들을 연관 짓는다 == 입력되는 참조자의 라이프타임과 반환되는 참조자의 라이프타임을 연결한다.

 

라이프타임 파라미터 이름은 '로 시작한다.

참조자 & 뒤에 온다.

&i32 = 참조자 &'a i32 = 라이프타임을 가진 참조자 &'a mut i32 = 라이프타임을 가진 가변 참조자

두 참조자가 같은 라이프타임 파라미터를 갖는다면, 둘 다 같은 제네릭 라이프타임만큼 살아야 한다는 뜻이다.

함수 시그니처에 라이프타임 명시하기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처럼 , 제네릭 라이프타임 파리미터도 함수이름 뒤에 정의된다.

참조자 xy가 동일한 라이프타임을 갖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각 참조자에 라이프타임 'a를 추가한다.

fn longest<'a>(x: &'a str, y: &'a str) -> &'a str {
    if x.len() > y.len() {
        x
    } else {
        y
    }
}

라이프타임이 다른 참조자가 파라미터로 넘겨지면, 빌림 검사기가 거부한다.

잘 보면, 함수 시그니처에만 라이프타임이 명시되어 있고, 함수 본체에는 라이프타임 관련 코드가 없다.

러스트가 함수 안에 있는 참조자는 잘 분석하지만, 함수 밖에 있는 참조자는 다 분석할 수가 없어서 그렇다.

 

참조자들이 longest 함수로 넘겨질 때, 'a에는 xy의 겹치는 스코프가 대입된다.

즉, xy의 라이프타임 중 더 작은 쪽의 라이프타임이 'a로 들어간다.

반환되는 참조자에도 'a가 명시됐으니, 'a 만큼의 라이프타임을 갖고 있음을 보장한다.

아래 코드에서 string1은 외부 스코프, string2는 내부 스코프, result는 내부 스코프까지 유효한 것을 참조한다.

빌림 검사기는 이 코드를 승인해서 컴파일에 성공한다.

fn main() {
    let string1 = String::from("long string is long");

    {
        let string2 = String::from("xyz");
        let result = longest(string1.as_str(), string2.as_str());
        println!("The longest string is {}", result);
    }
}

아래 코드에서 result는 내부 스코프에서 선언됐지만, 외부 스코프에서 사용된다.

string2가 스코프를 벗어난 후에 result를 사용하고자 해서 컴파일에 실패한다.

fn main() {
    let string1 = String::from("long string is long");
    let result;
    {
        let string2 = String::from("xyz");
        result = longest(string1.as_str(), string2.as_str());
    }
    println!("The longest string is {}", result);
}

입력 참조자의 라이프타임(string1string2 중 짧은 쪽인 string2의 라이프타임)과 반환 참조자의 라이프타임(result의 라이프타임)의 길이가 달라서 그렇다.

라이프타임의 측면에서 생각하기

아래 코드는 y에 라이프타임을 명시하지 않았는데도 컴파일된다.

y의 라이프타임이 x나 반환값의 라이프타임과 아무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fn longest<'a>(x: &'a str, y: &str) -> &'a str {
    x
}

 

반환되는 참조가 입력 인자를 하나도 참조하지 않는다면, 함수 내에서 생성된 값을 참조한다는 뜻이다. (무조건이다.)

이 값은 함수가 끝나면 스코프 밖으로 벗어나서 댕글링 참조자가 된다.

아래와 같은 함수는 `result` does not live long enough에러를 내며 컴파일에 실패한다.

fn longest<'a>(x: &'a str, y: &str) -> &'a str {
    let result = String::from("really long string");
    result.as_str()
}

라이프타임 문법은 함수의 인자와 반환 값 사이를 연결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라이프타임 명시를 통해 메모리 안전을 저해하는 연산을 막을 충분한 정보를 갖게 된다.

구조체 정의 상에서의 라이프타임 명시

구조체가 참조자를 가지기 위해서는 참조자에 라이프타임을 표시해야 한다.

구조체 이름 뒤에 제네릭 라이프타임 파라미터를 적는다.

struct ImportantExcerpt<'a> {
    part: &'a str,
}

fn main() {
    let novel = String::from("Call me Ishmael. Some years ago...");
    let first_sentence = novel.split('.')
        .next()
        .expect("Could not find a '.'");
    let i = ImportantExcerpt { part: first_sentence };
}

main 함수는 변수 novel이 소유한 String 첫 문장의 참조자를 들고 있는 ImportantExcerpt 구조체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라이프타임 생략

모든 참조자가 라이프타임을 가지고 있지만, 모든 참조자에 라이프타임을 적을 필요가 없다.

라이프타임 명시가 없는 아래 코드는 잘만 컴파일 된다.

fn first_word(s: &str) -> &str {
    let bytes = s.as_bytes();

    for (i, &item) in bytes.iter().enumerate() {
        if item == b' ' {
            return &s[0..i];
        }
    }

    &s[..]
}

옛날의 러스트는 위와 같은 간단한 함수에도 라이프타임을 명시하지 않으면 컴파일이 안 됐다.

나중에, 자주 쓰는 간단한 패턴에서는 빌림 검사기가 라이프타임을 추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조자 분석이 가능한 패턴을 라이프 타임 생략 규칙이라고 한다.

명시적인 라이프타임이 없으면 참조자가 어떤 라이프타임을 갖는지 알아낸다.

우선, 파라미터의 라이프타임은 입력 라이프타입, 반환 값의 라이프타임은 출력 라이프타임 이라고 한다.

1. 각 참조자 파라미터는 고유한 라이프타임 파라미터를 갖는다.

파라미터가 하나면 하나의 라이프타임 파라미터를 갖는다:

fn foo<'a>(x: &'a i32)

파라미터가 두 개면 라이프타임도 두 개 갖는다.

fn foo<'a, 'b>(x: &'a i32, y: &'b i32)

2. 라이프타임 파라미터가 딱 한 개만 있으면, 그 라이프타임이 모든 출력 라이프타임 파리미터에 적용된다.

fn foo<'a>(x: &'a i32) -> &'a i32

3. 메서드에서 입력 라이프타임 파라미터가 여러 개 있을 때, 파라미터 중 &self&mut self가 있다면, self의 라이프타임이 모든 출력 라이프타임 파라미터에 적용된다.

직접 라이프타임 추론해본다.

아래 first_word 함수 시그니처에는 아무 라이프타입도 없다.

fn first_word(s: &str) -> &str {

1번 규칙을 적용하면, 모든 파라미터가 고유의 라이프타임을 갖는다.

함수 시그니처에 'a를 추가한다.

fn first_word<'a>(s: &'a str) -> &str {

입력 파라미터가 한 개라서 2번 규칙을 적용하면, 출력 파라미터에 입력 파라미터의 라이프타임을 적용한다.

fn first_word<'a>(s: &'a str) -> &'a str {

끝!

 

아래 longest 함수의 라이프타임을 추론해본다.

fn longest(x: &str, y: &str) -> &str {

1번 규칙으로 각각의 파라미터는 고유의 라이프타임을 갖는다.

fn longest<'a, 'b>(x: &'a str, y: &'b str) -> &str {

입력 파라미터가 한 개 이상이라 2번 규칙은 스킬한다.

또, 함수가 아니라서 3번 규칙도 스킵한다.

라이프타임 추론에 실패해서, 컴파일에 성공하려면 라이프타임을 직접 명시해야 한다.

메서드 정의 시 라이프타임 명시

impl 뒤에 라이프타임을 붙인다.

아래 level 메서드에서 반환 타입이 참조자가 아니고, 1번 생략 규칙이 적용되기에 라이프타임을 명시하지 않아도 된다.

impl<'a> ImportantExcerpt<'a> {
    fn level(&self) -> i32 {
        3
    }
}

아래는 3번 라이프타임 생략 규칙이 적용된다.

impl<'a> ImportantExcerpt<'a> {
    fn announce_and_return_part(&self, announcement: &str) -> &str {
        println!("Attention please: {}", announcement);
        self.part
    }
}

위의 코드에는 입력 라이프타임이 2개 있다.

1번 생략 규칙을 적용해서 &selfannouncement에 라이프타임을 부여한다.

파라미터 중에 &self가 있으므로 3번 생략 규칙을 적용해서 반환 타임은 &self의 라이프타임을 얻어서, 모든 라이프타임을 추론할 수 있다.

정적 라이프타임('static)

'static 라이프타임은 프로그램 전체 라이프타임과 동일하다.

모든 스트링 리터럴은 'static 라이프타임을 가지고 있어서 아래처럼 작성해도 된다.

let s: &'static str = "I have a static lifetime.";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 트레잇 바운드, 라이프타임을 함께 써보기

라이프타임과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를 <'a, T>와 같이 나열하고

where T: Display로 트레잇 바운드를 설정한다.

use std::fmt::Display;

fn longest_with_an_announcement<'a, T>(x: &'a str, y: &'a str, ann: T) -> &'a str
    where T: Display
{
    println!("Announcement! {}", ann);
    if x.len() > y.len() {
        x
    } else {
        y
    }
}

Categories: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