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minute read

연관 타입, 기본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 완전 정규화 문법, 슈퍼 트레잇, 뉴타입 패턴

연관 타입

연관 타입은 타입 플레이스홀더와 트레잇을 연결한다.

트레잇 메서드 정의에 플레이스홀더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Iterator 트레잇을 정의할 때 사용했던 Item이 연관 타입이다.

pub trait Iterator {
    type Item;
    fn next(&mut self) -> Option<Self::Item>;
}

Iterator 구현 시 Item의 구체적인 타입이 명시될 것이고

next 메서드는 Item이 나타내는 구체 타입의 옵션값을 반환할 것이다.

연관 타입 vs. 제네릭

연관 타입과 제네릭은 둘 다 타입을 특정하지 않아도 함수를 정의할 수 있게 도와준다.

CounterIterator 구현 시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한다.

impl Iterator for Counter {
    type Item = u32;

    fn next(&mut self) -> Option<Self::Item> {
        // --snip--

제네릭을 사용 시 다음과 같이 Iterator를 정의할 수 있다.

pub trait Iterator<T> {
    fn next(&mut self) -> Option<T>;
}

제네릭을 이용하면 각 구현마다 타입을 명시해야 한다.

제네릭 타입 T에 들어갈 타입이 100개라면 100개의 Iterator 구현이 필요할 것이다.

Iterator<String> for Counter, Iterator<Point> for Counter, ..

연관 타입을 이용하면 Item의 타입을 한 번만 명시할 수 있다.

impl Iterator for Counter은 한 번만 쓸 수 있기 때문이다.

기본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와 연산자 오버로딩

제네릭 타입에 들어갈 기본 타입을 명시할 수 있다.

<PlaceholderType=ConcreteType> 이런 식이다.

이 기능을 연산자 오버로딩에 사용하면 유용하다

러스트에서는 std::ops에 있는 연산자를 구현해서 연산자 오버로딩을 할 수 있다.

아래 코드는 두 개의 Point를 더하기 위해 + 연산자를 오버로딩한다.

use std::ops::Add;

#[derive(Debug, PartialEq)]
struct Point {
    x: i32,
    y: i32,
}

impl Add for Point {
    type Output = Point;

    fn add(self, other: Point) -> Point {
        Point {
            x: self.x + other.x,
            y: self.y + other.y,
        }
    }
}

fn main() {
    assert_eq!(Point { x: 1, y: 0 } + Point { x: 2, y: 3 },
               Point { x: 3, y: 3 });
}

연관 타입 Output으로 add 메서드에서 반환되는 타입을 결정한다.

Add 트레잇을 살펴보면 기본 제네릭 타입(<RHS=Self>)을 확인할 수 있다.

trait Add<RHS=Self> {
    type Output;

    fn add(self, rhs: RHS) -> Self::Output;
}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 RHS(우변, right hand side 줄임말)은 add 메서드의 rhs 파라미터 타입을 정의한다.

RHS의 기본 타입은 Self다.

동일한 타입을 더하고 싶을 때는 트레잇에 제네릭 타입 명시를 생략해도 된다.

다음의 코드는 서로 다른 타입인 MillimetersMeters를 더하기 위해 Add 트레잇을 구현한다.

use std::ops::Add;

struct Millimeters(u32);
struct Meters(u32);

impl Add<Meters> for Millimeters {
    type Output = Millimeters;

    fn add(self, other: Meters) -> Millimeters {
        Millimeters(self.0 + (other.0 * 1000))
    }
}

impl Add<Meters>를 명시해서 RHS 타입 파라미터에 기본값 Self 대신 Meters를 지정한다.

서로 다른 타입인 MillimetersMeters를 더할 수 있게 됐다.

기본 타입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경우

  • 기본 코드를 망가뜨리지 않고 타입을 확장하기 위해
  • 특수한 상황의 유저를 위해 커스터마이징을 허용하고 싶을 때

모호성 방지를 위한 완전 정규화 (fully qualified) 문법: 동일한 이름의 메소드 호출하기

러스트에서는 서로 다른 트레잇들이 이름이 같은 메서드를 가질 수 있고, 같은 타입에 대한 구현도 가능하다.

특정 타입이 가진 메서드와 이름이 같은 트레잇 메서드도 구현할 수 있다.

메서드 이름이 같을 때, 어떤 것을 사용할지 러스트에게 알려줘야한다.

다음의 코드는 fly 메서드를 가진 PilotWizard 트레잇을 정의한다.

두 트레잇은 이미 fly 메서드를 가진 Human 타입에 대한 구현도 했다.

trait Pilot {
    fn fly(&self);
}

trait Wizard {
    fn fly(&self);
}

struct Human;

impl Pilot for Human {
    fn fly(&self) {
        println!("안녕하십니까. 비행을 맡고 있는 기장입니다.");
    }
}

impl Wizard for Human {
    fn fly(&self) {
        println!("위로!");
    }
}

impl Human {
    fn fly(&self) {
        println!("*팔을 격하게 흔드는 중*");
    }
}

다음과 같이 Human 인스턴스의 fly 메서드를 호출한다.

fn main() {
    let person = Human;
    person.fly();
}

컴파일러 해당 타입에 기본적으로 구현된 메서드를 호출하므로 *팔을 격하게 흔드는 중*이 출력된다.

PilotWizard 트레잇의 fly 메소드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어떤 fly 메서드를 호출하는지 다음과 같이 명시해야 한다.

fn main() {
    let person = Human;
    Pilot::fly(&person);
    Wizard::fly(&person);
    person.fly();
}

트레잇 메서드에 self 파라미터 덕분에 어떤 트레잇의 메서드를 호출할지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트레잇의 연관 함수는 self 파라미터가 없다.

이 경우, 완전 정규화 문법을 사용해야 어떤 함수를 호출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아래 코드는 연관 함수를 가진 트레잇(Animal)과, 이 트레잇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이름이 같은 연관 함수를 가지고 있는 타입(Dog)이 있다.

trait Animal {
    fn baby_name() -> String;
}

struct Dog;

impl Dog {
    fn baby_name() -> String {
        String::from("태식이")
    }
}

impl Animal for Dog {
    fn baby_name() -> String {
        String::from("강아지")
    }
}

fn main() {
    println!("아기 개는 {}라고 부른다.", Dog::baby_name());
}

Dogbaby_name은 모든 강아지 이름을 태식이로 짓고 싶은 동물 보호소를 위한 코드이다.

Animal은 모든 동물이 가진 특성을 설명하고 baby_name은 아기 개는 강아지라고 불리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코드이다.

위 코드는 아기 개는 태식이라고 부른다.가 출력된다.

아기 개는 강아지라고 부른다.라고 출력되게 하기 위해서 다음의 코드를 시도해 볼 수 있다.

fn main() {
    println!("A baby dog is called a {}", Animal::baby_name());
}

위의 코드에서 러스트는 어떤 구현체의 baby_name 함수인지 알 수 없다.

모호성을 방지하고 러스트에게 Dog에 대한 Animal 구현체를 사용하고 싶다고 알려주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완전 정규화 문법을 사용해야 한다.

fn main() {
    println!("A baby dog is called a {}", <Dog as Animal>::baby_name());
}

완전 정규화 문법 정의

<Type as Trait>::function(메서드일_경우_사용할_리시버, 다음_인자, ...);

연관 함수는 리시버가 없고 인자들의 리스트만 입력하면 된다.

함수나 메서드를 호출하는 모든 곳에서 완전 정규화 문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러스트는 알아낼 수 있는 부분에서는 생략할 수 있다.

슈퍼트레잇(supertrait)으로 어떤 트레잇 내에서 다른 트레잇의 기능 요구하기

트레잇 구현자에게 다른 트레잇의 종속성 강제할 수 있다.

값을 *로 감싸서 출력하는 outline_print 메서드를 가진 OutlinePrint 트레잇을 구현해본다.

Display를 구현해서 (x, y)를 출력하는 Point 구조체가 있을 때,

Point 인스턴스에 outline_print 메서드 호출 시 다음과 같이 출력돼야 한다.

**********
*        *
* (1, 3) *
*        *
**********

OutlinePrint 구현 시 Display의 기능이 필요하다는 것을 명시해야 한다.

아래와 같이 트레잇 정의 시 OutlinePrint: Display라고 명시한다.

트레잇에 트레잇 바운드를 추가하는 것 같다.

use std::fmt;

trait OutlinePrint: fmt::Display {
    fn outline_print(&self) {
        let output = self.to_string();
        let len = output.len();
        println!("{}", "*".repeat(len + 4));
        println!("*{}*", " ".repeat(len + 2));
        println!("* {} *", output);
        println!("*{}*", " ".repeat(len + 2));
        println!("{}", "*".repeat(len + 4));
    }
}

selfDisplay 트레잇을 구현하도록 강제됐기 때문에, selfto_string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Display를 구현하지 않은 타입이 OutlinePrint를 구현하면 the trait bound `Point: std::fmt::Display` is not satisfied 에러가 발생한다.

struct Point {
    x: i32,
    y: i32,
}

impl OutlinePrint for Point {}

아래와 같이 PointDisplay를 구현해서 OutlinePrint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면 에러를 없앨 수 있다.

use std::fmt;

impl fmt::Display for Point {
    fn fmt(&self, f: &mut fmt::Formatter) -> fmt::Result {
        write!(f, "({}, {})", self.x, self.y)
    }
}

외부 타입에 대해 외부 트레잇을 구현하기 위한 뉴타입 패턴

트레잇을 구현하려면 타입이나 트레잇 둘 중 하나가 내 크레이트 안에 있어야 하는 고아 규칙을 따라야 한다.

고아 규칙을 우회하려면 뉴타입 패턴(newtype pattern)을 사용하면 된다.

뉴타입 패턴은 트레잇을 구현하려는 타입을 튜플로 감싸서 내 크레이트 내에 있게한다.

Vec 타입에 Display 트레잇을 구현하려고 하면, 둘 다 내 크레이트 외부에 정의되어 있어서 고아 규칙에 걸려 구현을 할 수가 없다.

Vec을 감싸는 Wrapper 구조체를 만들고, WrapperDisplay를 구현하면 Vec 값을 이용할 수 있다.

use std::fmt;

struct Wrapper(Vec<String>);

impl fmt::Display for Wrapper {
    fn fmt(&self, f: &mut fmt::Formatter) -> fmt::Result {
        write!(f, "[{}]", self.0.join(", "))
    }
}

fn main() {
    let w = Wrapper(vec![String::from("hello"), String::from("world")]);
    println!("w = {}", w);
}

self.0으로 Vec에 접근한다.

뉴타입 패턴의 단점

Wrapper가 새로운 타입이므로, 내부 값의 메서드를 사용할 수 없다.

WrapperVec처럼 사용되려면, Wrapper 상에 Vec 메서드를 모두 직접 구현하고 이를 self.0에 위임해야 한다.

또는, WrapperDeref 트레잇을 구현해서 내부 타입이 가진 메서드를 Wrapper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Categories:

Updated: